-
목차
1. 서론: 위염에서의 통증은 염증이 전부가 아니다
위염은 위점막의 염증성 병변을 의미하지만, 많은 환자들이 염증 정도와 무관하게 과도한 통증, 불쾌감, 팽만감 등을 호소한다.
이는 단순한 조직 손상 외에, 신경생리학적 기전에 따른 감각 과민 상태가 통증의 원인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최근 연구는 **내장 과민성(visceral hypersensitivity)**과 자율신경계의 조절 장애가 위염의 증상 표현에 큰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고 있다.
2. 위장관 감각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2.1 위장관 감각 수용체와 전달 경로
- 기계 수용체 (mechanoreceptors): 위 팽창에 반응
- 화학 수용체 (chemoreceptors): 위산, 담즙, H. pylori 대사물 감지
- TRPV1, ASIC3, P2X3 수용체: 자극성 통각 전달에 관여
해당 수용체들은 **장-뇌 축(Gut–Brain Axis)**을 따라 척수 후근신경 → 연수 → 시상 → 감각피질로 전달되며, 감각의 인지와 조절에 관여한다.
2.2 내장 과민성의 정의
- 정상보다 낮은 자극에 통증 혹은 불쾌감을 느끼는 상태
- 염증이 없거나 경미한 병리 상태에서도 감각 증폭과 신경 과흥분 상태로 인해 증상이 과도하게 유발됨
3. 위염과 내장 과민성: 병태생리학적 연관성
3.1 위 점막 염증이 감각신경 감작에 미치는 영향
- 위점막 염증 → mast cell, macrophage, T-cell 활성화
- 신경세포 근처에서 NGF, IL-1β, TNF-α 등의 염증성 매개체 분비
- 통각 민감화(sensitization): TRPV1, Nav1.8 등 이온채널 민감도 증가
3.2 자율신경계 불균형과 위장기능 조절장애
- 위염 환자군에서 HRV(HR variability) 분석 시 부교감신경 활성 감소, 교감신경 우세 경향
- 이는 위 배출 지연, 위산 과다 분비, 위 내 압력 상승으로 이어져 감각 자극 증가
4. 감각 역치 평가 방법: 진단 도구의 고도화
4.1 위장관 감각 역치 평가 기술
방법 원리 임상 적용 Barostat 일정한 압력 유지하며 풍선 팽창 위팽창 역치 측정, 표준화 도구 풍선 팽창 검사 (BFT) 수동 압력 조절식 위풍선 삽입 저비용, 고환자 수용성 전기 자극 검사 점막 전기자극 → 감각 역치 측정 객관적 통증 전달 경로 확인 가능 4.2 HRV 기반 자율신경계 평가
- LF/HF 비율, RMSSD 등 분석하여 교감-부교감 균형 측정
- 위염 환자에서 LF 증가, HF 감소 → 교감신경 항진 확인
5. 기능성 소화불량(FD)과 위염의 감각기전 차이 및 중복성
- FD는 내장 과민성이 주요 병태기전이며, 위염은 점막병변 중심
- 그러나 염증성 위염 환자의 약 38%에서 FD 기준 만족
- 위염 자체가 FD-신경성 위장 증상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음
6. 내장 과민성에 대한 치료적 개입 전략
6.1 약물 치료: 중추 신경 조절 기반
- 저용량 삼환계 항우울제 (TCA):
Visceral pain transmission 억제, 위산 분비에도 억제 효과 - SNRI, SSRI: 중추 감각 처리의 선택적 억제 효과
6.2 비약물적 치료 전략
- 인지행동치료(CBT): 감각 자극에 대한 환자 반응 수정
- 바이오피드백 치료: 자율신경계 반응 조절 훈련
- 장-뇌 축 기반 식이 개입: FODMAP 제한 식이, 장내 미생물 조절
7. 결론: 위염 진료에서 신경생리학적 평가의 필요성
통증 민감도와 내장 과민성은 위염의 병리적 진행뿐 아니라,
환자의 삶의 질과 치료 반응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소화기내과 진료에서는 단순한 점막 관찰을 넘어
신경생리 기반 통각 평가, 자율신경 기능 분석, 환자 중심의 감각 조절 개입이 병행되어야 한다.이는 향후 기능성 위장질환과 염증성 질환의 진단적 경계 명확화 및
맞춤형 통증 치료 전략 수립에 결정적인 근거를 제공할 것이다.'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위염 진료 지침과 실제 임상의 일치도 평가– 진료 표준화와 실제 의료행태 간 간극을 중심으로 (0) 2025.04.10 국내 위염 진료 지침과 실제 임상의 일치도 평가: 정책과 임상 사이의 간극 (0) 2025.04.09 중년 여성에서 만성 위염과 폐경 이후 호르몬 변화 간의 관련성 분석 (0) 2025.04.09 만성 위염 환자에서 건강문해력과 치료 이행도 간의 상관성: 환자 참여 중심의 질환 관리 전략 (0) 2025.04.08 헬리코박터 감염률 감소가 위염·위암 유병률에 미친 영향: 지역 간 비교 역학 분석 (0) 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