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1. 서론: NSAIDs의 광범위한 사용과 위장관 안전성 이슈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는 근골격계 질환, 관절염, 만성 통증 질환의 1차 약제로 널리 활용되며, 노인 인구의 증가 및 만성질환의 만연과 함께 사용 빈도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그러나 NSAIDs의 주요한 부작용 중 하나는 상부위장관 점막 손상으로, 이는 경미한 위염부터 치명적인 소화성 궤양 출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현된다. 특히, 장기 복용자에서 위점막 손상의 누적 위험은 임상적으로 간과되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2. 병태생리학적 기전: 위점막 보호체계의 붕괴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억제에 의한 손상 기전
NSAIDs는 COX(cyclooxygenase) 효소를 억제함으로써 통증과 염증을 조절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위점막 보호에 필수적인 프로스타글란딘(PGE2)의 합성도 함께 억제된다.
프로스타글란딘은 점액 및 중탄산염 분비를 촉진하고, 위점막 혈류를 유지하며, 세포 재생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므로, 이의 감소는 위점막의 방어기전 전반을 약화시킨다.위산-펩신 노출 증가와 산화 스트레스
위 점막 방어력이 약화되면 위산과 펩신에 대한 노출이 증가하게 되며, 이는 표층 상피세포의 괴사와 염증반응을 유도한다. 이차적으로 활성산소종(ROS)의 생성과 NF-κB 신호 전달계의 활성화가 궤양 형성의 병태생리학적 근거로 작용한다.
3. 위염 및 궤양 발생의 임상 역학 및 위험 요인
주요 위험 요인 정리
위험 요인 설명 고령 점막 재생능 저하 및 동반질환 다발 고용량/장기 NSAID 사용 누적 노출에 따른 점막 손상 증가 병용 약물 스테로이드, 항응고제, 저용량 아스피린 병용 시 위험 상승 과거 궤양 병력 점막의 회복 불완전성 및 재발률 증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염증성 점막 환경 조성 및 상호작용 증폭 흡연 및 음주 점막 혈류 감소, 산분비 촉진 및 항산화 능력 저하 국내 코호트 기반 연구
서울대병원의 장기 관찰 코호트에 따르면, NSAIDs를 6개월 이상 복용한 65세 이상 환자 중 12.5%가 내시경상 위염 또는 궤양 소견을 보였으며, 헬리코박터 양성자의 경우 그 비율은 18%로 증가하였다.
4. 진단 및 위험도 평가 전략
내시경 검사의 역할
무증상 상태에서도 내시경 검사는 위점막 손상의 조기 발견에 유효하며, 궤양성 병변은 조직검사와 함께 악성 감별을 요한다. 특히 장기 NSAID 복용자에서는 주기적 내시경 추적관찰이 예방적 의미에서 권장된다.
임상 점수 시스템
- GI Risk Score: 연령, 궤양 병력, NSAID 복용 기간, 병용 약물 등을 종합해 고위험군 선별에 활용된다.
- HAS-BLED 지표와의 병합 평가 시, 심혈관계와 소화기계 합병증 간 균형 잡힌 치료 전략 수립이 가능하다.
5. 예방적 접근 및 치료 전략
위장 보호제(PPI)의 병용 요법
프로톤펌프억제제(PPI)는 위산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NSAID 유도성 위점막 손상을 예방하는 1차 치료제이다. 장기 NSAID 복용 예정 환자에서는 PPI 병용이 강력히 권고되며, 특히 다음 조건에 해당할 경우 필수적이다.
- 60세 이상
- 과거 위궤양 병력
- 항혈소판제 또는 항응고제 병용
- 고용량 NSAID 사용
선택적 COX-2 억제제의 고려
Celecoxib 등 선택적 COX-2 억제제는 일반 NSAID 대비 위장관 독성이 낮지만, 심혈관계 부작용 위험 증가 가능성이 있어 환자의 기저 질환을 고려한 선택이 요구된다.
6. 결론: 다요인적 접근을 통한 위장관 안전성 확보
NSAIDs 장기 복용자에서 위염 및 궤양 발생은 약물의 고유 독성뿐 아니라 환자의 기저질환, 병용 약제, 감염 상태, 생활습관 등 다양한 요소가 상호작용하여 발생한다.
따라서 단일 요인 중심의 대응이 아닌, 정기적 내시경 검사, 위험도 기반 PPI 병용, 환자 교육 및 모니터링이 통합된 전략이 필요하다.
소화기내과 전문의는 약물 사용에 따른 위장관 합병증 예방을 위해, 적극적인 선별 및 위험 평가 체계를 임상에 적용해야 한다.'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염 환자에서 프로바이오틱스 복용이 위장 증상 및 염증 지표에 미치는 영향: 병태생리학적 및 임상적 분석 (0) 2025.04.04 자율신경계 기능 이상이 기능성 소화불량(신경성 위염) 증상에 미치는 병태생리학적 고찰 (0) 2025.04.04 위내시경 소견과 병리학적 조직검사 결과 간 불일치 요인에 대한 고찰 (0) 2025.04.03 한국인 성인의 식이 패턴과 만성 위염 유병률 간의 상관성에 대한 병태생리학적 및 역학적 고찰 (1) 2025.04.03 만성 위염 환자에서 장내 미생물군(Gut Microbiota)의 변화 양상 분석 (0) 2025.04.03